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과거의 TLSO 보조기는 이제 사라질 운명, 제한된 척추운동을 허용하는 스피노메드

카테고리 없음

by 메디인포 2025. 6. 25. 09:51

본문

“척추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수동적 고정에서 능동적 움직임으로 – 스피노메드의 제한된 허용적 움직임이 갖는 생체역학적 가치”


척추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수동적 고정에서 능동적 움직임으로

– 제한된 허용적 움직임을 유도하는 스피노메드의 생체역학적 가치 –


1. 서론

기존의 척추 치료는 고정과 안정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삼아왔으며, 이는 수술 후 회복기 또는 급성 통증기에서 중요한 전략이었다.

특히 TLSO(Thoraco-Lumbo-Sacral Orthosis) 같은 전통적인 척추 보조기는 이러한 목적에 맞춰 완전 고정과 움직임의 차단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와 임상 경험은 척추의 지속적인 고정이 오히려 근육의 약화, 관절의 경직,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은 능동적 움직임의 중요성과 제한된 허용적 움직임을 유도하는 스피노메드(Spinomed)의 생체역학적 기능을 고찰하고, 새로운 척추 치료 패러다임으로서의 가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2. 기존 척추 고정 보조기의 한계

2.1 수동적 고정의 생리학적 단점

고정은 외부에서 뼈를 받쳐주는 방식으로 근육의 사용을 억제한다.

이로 인해 기립근, 복근, 심부근육은 기능이 저하되고, 장기적으로 근위축과 자세 악화로 이어진다.

뇌는 자세 인식을 상실하며, 자세에 대한 바이오피드백 회로가 차단된다.


2.2 전통적인 TLSO의 설계 문제

견고한 쉘 구조로 인해 척추의 움직임이 거의 차단되며,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크다.

특히 **척추의 생리적 굴곡(S자 곡선)**에 맞춰 유연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척추 압력 분산에 실패한다.

보조기가 오히려 비정상적 압력 집중을 유발하기도 한다.



---

3. 능동적 움직임의 중요성

3.1 척추는 고정 구조가 아닌 ‘동적 균형 구조’

척추는 움직이며 버티는 구조이며, 균형과 중력 저항을 통해 자세를 유지한다.

완전 고정보다는 움직임 속에서의 균형 회복이 진정한 회복의 핵심이다.


3.2 움직임 속 회복: 근육, 인대, 신경계의 협응

제한적이지만 반복적인 움직임은 근육 활성화와 자극, 자세 인식 회복, 신경계의 피드백 루프 재훈련을 가능케 한다.

속근육(심부근)은 저강도 반복 운동에 의해 강화되며, 이는 움직임을 통한 회복에서 핵심이다.



4. 스피노메드의 제한된 허용적 움직임과 그 가치

4.1 구조적 설계: ‘반발력 + 3점압’ 시스템

스피노메드는 굽어지는 방향에 저항하는 부드러운 반발력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 스스로 움직이며 자세를 교정하도록 능동적 자극을 주는 방식이다.

바른 자세로 유도된 상태에서 미세한 움직임이 허용되며, 그 움직임이 다시 반사적으로 근육을 활성화시킨다.


4.2 생체역학적 이점

완전 고정이 아닌 제한된 허용적 움직임은 바이오피드백을 활성화하고 뇌-척추-근육의 회로를 재구성한다.

특히 허용되는 움직임 범위가 바른 자세 내에서의 안정 구간으로만 제한되어 있어 위험한 움직임은 차단하면서 회복성 운동은 유도한다.


4.3 치료와 재활의 경계에서

스피노메드는 단순한 고정 장치가 아닌, 치료와 재활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보조기다.

이는 병원 치료의 연장선이 아니라, 회복과 기능 재활의 시작점이 된다.



5. 결론

척추 치료는 더 이상 고정 중심의 수동적 접근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능동적 움직임을 유도하며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즉 제한된 허용적 움직임을 제공하는 스피노메드와 같은 과학적 보조기는 척추 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핵심 도구다.

지지, 고정, 보호만이 아닌 회복, 강화, 재활을 유도하는 설계, 이것이 바로 미래의 척추 보조기이며, 스피노메드는 그 대표적인 예다. 앞으로의 척추 치료는 움직임 기반의 회복 전략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 시작은 ‘움직이도록 설계된 보조기’에서 출발한다.



www.spinomed.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