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로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실제로 수술이 꼭 필요하지 않았던 비율이 약 70~90%에 달한다"는 연구와 임상 통계들이 존재합니다. 즉, 수술이 필요 없었는데도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매우 많다는 거죠.
1. 국내외 주요 연구 및 통계
① 대한신경외과학회 & 대한재활의학회
허리디스크 환자의 약 80~90%는 비수술 치료로 호전된다고 명시
수술은 통증이 극심하거나 마비 증상, 대소변 장애가 있을 때만 고려
② 미국 척추학회(NASS) 연구
허리디스크 수술 환자 중 70~80%는 충분한 비수술 치료가 먼저 가능한 케이스였다고 보고
③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 분석
2010년대부터 허리디스크 수술 건수가 급증
하지만 수술 후 2~3년 내 재발 또는 재수술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음
→ 이는 초기 수술 적응증 판단이 부정확했을 가능성을 시사
2. 왜 이런 일이 생길까?

3. 정리하면
> 허리디스크 수술 환자의 90% 가까이가
수술이 꼭 필요하지 않았던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곧,
제대로 된 보존적 치료만 이루어졌어도 수술을 피할 수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4. 그래서 더 중요해지는 “보존적 치료의 질”
바른 자세 회복
근육과 신경의 협응력 강화
스피노메드처럼 능동적 재활을 유도하는 도구 사용
이런 ‘진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수술로 넘어가는 일,
이제는 막아야 할 때입니다.
www.spinomed.info